HMI(Human Machine Interface) 

 

-장비의 상태 및 제어를 사용자 측면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와 기타 장비의 데이터의 도식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자동화된 생산라인의 장비의 제어를 하는 컨트롤러(PLC, DCS, 계측기)의 제어를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화면으로 제공하고 
그에 필요한 데이터를 그래프나 여러필요한 방식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WEB-INF 폴더는 웹 브라우저에서는 직접 접근할 수 없고, 
웹 컨테이너(톰캣)가 대신 접근해준 뒤 그 결과물만 웹 브라우저에 전달해주는 형태로 작동을 합니다.

project/WEB-INF/abc.jsp

같은 경로를  아무리 입력해도 절대로 접근이 안됩니다! 직접 접근이 불가능한 경로이기 때문입니다.)

워드프레스 확장성이 좋지만, 무겁고 느림

난이도도 Wix 나 소피파이랑 비교해서 매우 어려운편임.

비설치형도 마찬가지.

간단한 텍스트 에디터 하나도 여러개를 설치하고 지우는 일을 요구함

 

이에 따른 대체자 목록

github.io <--빠른

온라인 커머스는 shopify , squareSpace

렌딩페이지 --> Wix 빠르다. Strikingly

개인포트폴리오를 위함 -> 비헨스 , 어도비

극적인연출을 원하면 Cargo Collective

TCP 통신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통신은 전화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

보통의 경우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알고 있어야 전화를 거는 것처럼 TCP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IP 주소와 Port를 알고 있어야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를 걸더라도 받아주지 않으면 계속해서 대기해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응답을 받아주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요청을 하게 된다.

 

물론 어느 순간에 포기하는 것도 마찬가지

 

만약 전화를 받았다고 생각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

 

한번 연결되면 계속해서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것처럼

TCP 통신에서도 계속적으로 소켓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

 

전화가 연결된 후 끊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임.

 

데이터의 확인 절차도 거치게 됨.

 

만약 전화가 잘 들리지 않는다면 상대방은 '뭐라고요?' 하로 되묻는것처럼

TCP 프로토콜도 자료를 받지 못했다면 다시 요청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