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술연산자  

관계 연산자

 

 두 수치 데이터 사이에 사용되면 두 수 사이의 대소 관계를 판단

 연산자는 크다, 작다, 같다, 같지 않다. 크거나 같다. 작거나 같다.

 연산을 수행한 후 결과 값은 참(true), 거짓(false)으로 반환.

 

 

 

논리 연산자  

 논리 연산자는 두 가지 이상의 조건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비교 판단.

 관계 연산자들 사이에 또 다른 관계를 성립할 경우에 논리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자료형

 

★정수형

실수형

논리형

 True or False값

 

▣ 자바 스크립트의 자료 형(DATA TYPE)

 

문자형

     ‘ ’ 나 “ " 부호에 묶인 형태의 자료형

null 형

     내용이 전혀 없음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자료형

특수 문자

▣ 변수 만드는 방법

 

 변수의 시작은 반드시 영문자나 UnderBar( _ )를 사용하고 숫자는 절대 사용할 수 없다.

 두 번째 문자부터는 영문자(A~Z, a~z), 숫자(0~9) UnderBar( _ )를 모두 사용.

 대소문자를 구분.

 ∙변수 명을 구성하는 문자들 사이에 공백이 와서는 안 되고 반드시 문자가 모두 연결되어야한다.

 두 단어가 합쳐서 만들어진 변수 명인 경우 UnderBar( _ )를 사용하여 표현.

 미리 정해진 예약어(KeyWord)는 변수로 사용할 수 없다.

 

변수 사용하기

 자바 스크립트에서는 변수를 필요한 곳에서 사용만 하면 자동적으로 생성되므로

   굳이 신경 써서 선언하지 않아도 된다.

 자료형은 값을 대입하는 순간에 자동으로 결정된다.

 변수를 명시적으로 선언한 후 사용할 경우에는 특별히 자료형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var' 이라는 예약어를 사용하여 선언한다.

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변수 선언

 var birthDate;

 콤마( , )로 연결하여 한꺼번에 여러 개의 변수를 선언

 var sum, sub, mul, div;

 변수 선언 시 초기값 부여

 var total = 0;

자바 스크립트란?

 

자바 스크립트는 선 마이크로 시스템 사(Sun MicroSystems)와 넷스케이프사가 공동제작하여 만들어 낸 스크립트

 스크립트 언어는 원래의 언어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일을 대신 처리해 주기 위해서 사용

 자바 스크립트가 하는 대표적인 작업들도 HTML이 지원하지 못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

 웹 페이지에 작은 꽃(눈)들이 흩날리는 효과를 만들 수 있고, 마우스를 따라 다니는 글자 효과

 HTML에서 작성한 입력 상자에 입력받은 사용자의 정보를 서버 측으로 넘겨주기

    위해 [보내기] 누르는 사건을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발생시킨 이벤트로 보고 이를 처리

 

HTML 페이지에서 사용자 반응 등을 처리하는데 사용

 표준 명칭은 ECMAScript5

 1994년 넷스케이프의 브랜든 아이히가 모카라는 이름으로 개발

 자바스크립트 기술 규격이 ECMA-262라는 이름으로 정식 채택되고 ECMAScript 표준으로 불림

 

자바스크립트 종류

 

자바 스크립트 외부에서 불러들이기

 

# 자바 스크립트로 구성된 내용을 완전히 독립된 다른 파일로 작성하여

   파일의 확장자는 “js”로 지정.

# 작성된 자바 스크립트 파일을 html문서에 삽입하는 방법은 <script>

   태그의 src 속성에 해당 자바 스크립트 파일을 지정

 

RequestDispatcher & sendRedirect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객체를 던져준다 .. 

 

만약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페이지에 sendRedirect 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된다.

 

 

[ HttpServeltRequest 의 sendRedirect 로 서버에 요청할 경우 ]

 

<a.jsp>




<%

     response.sendRedirect("b.jsp");

%>

 

< 순서 >

 

클라이언트 -> 서버로 요청 (a.jsp) 

 

서버에서 응답 -> 클라이언트(a.jsp)

 

클라이언트 -> 서버로요청 (b.jsp)




서버에서 응답 -> 클라이언트(b.jsp)




* 결국 두번의 반복된 동작으로 두번의 네트윅 트레픽이 발생하기때문에 속도가 늦어질수 있다.

 

 

[ RequestDispatcher 로요청할 경우 ]




<a.jsp>




?<%


RequestDispatcher rd = request.getServeltContext().getRequestDispacher("b.jsp");

rd.forward(request, response);

%>




< 순서 >




클라이어트에서 요청 -> 서버에서 응답함(a.jsp) -> 서버로 페이지요청하여 객체로 전달(b.jsp)

-> 클라이언트에게 응답(b.jsp)




* RequestDispatcher를 이용한 경우 한번의 요청으로 모든 작업이 서버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실행속도는 sendRedirect 보다 빠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