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SEO [기본 가이드 라인] 11가지

------SEO는 쉽게 말하면 최적화다.

즉, 검색엔진 상위페이지에 반영될 수 있도록 돕는 가이드라 할 수 있다.

 

1 - title 태그 : 명확하고 독창적인 내용을 사용한다.
 
2 - 메타태그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웹페이지에서 description 메타태그는 해당 홈페이지를 소개해준다고 보면 된다.
 
3 - 페이지 URL 구조에 신경 쓴다.
웹페이지 URL도 검색에 영향을 미치므로 카테고리, 제목, 첨부파일 이름에 유의한다.

 

4 – 웹페이지 간에 이동하기 쉬운 구조로 만든다.
사용자가 웹페이지 내에서 이동하기가 쉬워야 한다. 사용자가 URL의 일부를 지우고 사용하는 것까지 고려해야 한다.

 

5 - 양질의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든 검색엔진에서 가장 강조하는 사항이다. 꼭 SEO를 목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블로거 입장에서 ‘사용자’를 위한 포스팅은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다. 100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다른 거 다 모르겠으면 이것만이라도 집중해서 하길 권한다.

 

6 - 제목 태그의 활용
<h1></h1> <h2></h2> 등을 활용하여 제목 태그를 적절하게 사용한다.
그러핟고 페이지에 너무 많은 제목 태그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제목 태그 디자인적인 요소가 아닌 구조를 표현하도록 한다.

 

7 - robots.txt 활용
루트 디렉토리에 robots.txt파일을 생성함으로써 검색엔진이 사이트에 접근하고 크롤링할 수 있는 부분을 알려준다.

 

8 - rel="nofollow" 링크 속성 사용시 유의
"nofollow"를 사용하여 스팸 댓글을 방지한다.

 

9 - 구글에게 모바일용 사이트를 인식시킨다.
모바일용 사이트가 바르게 색인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티스토리 블로그로 치면 반응형 스킨을 사용한다고 봐도 될 것 같다.

 

10 - 웹마스터 도구를 활용한다.
구글의 검색로봇이 사이트를 쉽게 수집할 수 있도록 웹마스터 도구를 활용한다.

 

11 – 어뷰징은 하지 않는다.
자신의 웹사이트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백링크를 남발하면 역효과가 날 수 있다.

 

 

 

 

404 요청한 URL을 찾을 수 없음

500 서버에 내부적인 오류가 있어 더이상 진행할 수 없다.

503 서버가 busy한 상태라 서비스를 할 수 없다.

 

 

자주쓰는 이클립스 메뉴 알죠? 

Window -> Preferences 

로 들어간다.

 

Java 카테고리 펼쳐서 -> Code Style 카테고리 펼쳐서 -> Code Templates -> Comments카테고리 펼쳐서

Type 또는 Methods 등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의 주석을 커스텀해준다.

 

난 현재 Type만 쓰고있다. 상단의 프로그램 작성일과 작성자 내용정도만 쓰고있다.

 

이것저것 주렁주렁 달지말고 깔끔하게 가자 한두개정도는 추가해도 가독성이 안떨어진다.

 

[필자가 쓰는 양식]

 

/**
*
* @작성일 : ${date}
* @작성자 : ${user}
* @내용설명 :
* @변경이력 :
*
*/

 

Template을 지정했으면, [Shift + Alt + J]를 눌러 Code Template에 등록한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이클립스 블럭을 주석처리 하려면

해당 블럭을 선택하고 컨트롤+/ 눌러주면 해당 행들이 전부 주석처리된다.

 

 

#이클립스 주석 커스터마이징

#이클립스 주석 단축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SEO [기본 가이드 라인] 11가지  (0) 2020.09.20
ErrorCode 에러코드 (Http)  (0) 2020.09.12
Reverse proxy 리버스 프록시 간단설명  (0) 2020.08.04
OPC서버가 뭔가요?  (0) 2020.08.04
HMI 가 뭔가요? 공장 mes  (0) 2020.08.04

[Reverse 프록시- 프록시 서버를 '인터넷 리소스 또는 인트라넷 리소스 앞'에 위치시키는 방법
보통 기업의 네트워크환경에서는 DMZ라고 부르는 내부네트워크/외부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는 구간이 존재한다.
 (내부네트워크/외부네트워크에 둘다 접근할 수 있는 공간)
이 구간에는 메일 서버, 웹 서버, FTP 서버 등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위치하게 된다.
리버스 프록시 서버를 DMZ에 두고 실제 서비스 서버는 내부망(WAS)에 위치시킨 후 서비스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가 구성하는 일반적인 WEB(Apache, nginx) - WAS(Tomcat)분리 형태를 Reverse 프록시라고 보면 된다.
여기서 WEB(Apache, nginx)가 reverse proxy가 된다.
(물론 물리적인 한서버에 web,was가 존재한다면 reverse proxy라고 볼 수 없다.)

*사용자 ->인터넷 -> DMZ(Web) :리버스프록시 -> WAS ( 기업 내부망)
*인터넷(외부망) - > DMZ -> 인트라넷(내부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