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통신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통신은 전화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

보통의 경우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알고 있어야 전화를 거는 것처럼 TCP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IP 주소와 Port를 알고 있어야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를 걸더라도 받아주지 않으면 계속해서 대기해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응답을 받아주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요청을 하게 된다.

 

물론 어느 순간에 포기하는 것도 마찬가지

 

만약 전화를 받았다고 생각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

 

한번 연결되면 계속해서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것처럼

TCP 통신에서도 계속적으로 소켓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

 

전화가 연결된 후 끊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임.

 

데이터의 확인 절차도 거치게 됨.

 

만약 전화가 잘 들리지 않는다면 상대방은 '뭐라고요?' 하로 되묻는것처럼

TCP 프로토콜도 자료를 받지 못했다면 다시 요청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음

에러: Unreachable catch block for InvalidDataException. This exception is never thrown from the try statement body

 

다른 코드를 복사해서 쓸때, Try Catch문만 먼저 가져다 넣었을때 자주 뜬다.

 

아직 구문안에 코드 작성한게 없으니 try 안에서 IOException이 발생할일이 없다는 뜻이다.

 

.

CSV 파일이란?

 

CSV 파일은 Comma-Separated Values의 약자로 콤마(쉼표 ,) 로 구분된 텍스트 파일을 의미합니다.

 

비교적 파일 포맷이 단순하고 여러 가지 application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파일 형식입니다.

 

글꼴이나 색깔 등의 서식은 CSV 파일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유의해야 합니다.

 

엑셀 파일로 여러 가지 서식을 지정한 후에 CSV 파일로 저장하면 모든 서식이 날아가게 됩니다.

 

CSV 파일로 저장하면 확장자는 .csv 가 됩니다. 

 

 

 

 

[시스템 시간 확인] 

# date        

 

# date +%Y-%m-%d

2011-11-23

 

[CMOS 시간 확인]

# clock -r   

 

[CMOS 시간 설정]

 ㄴ시스템시간을 CMOS시간으로 설정 

# clock -w   

 ㄴCMOS시간을 시스템시간으로 설정 

# clock -s    

 

[리눅스 시간 동기화]

 

리눅스 시스템 시간 동기화 

# rdate -s time.bora.net  

 

[시간 확인] 

# date                          

 

 [CMOS 시간에 적용 ]

# clock -w                   

+ Recent posts